여과법 v 용어정리 ◦여과: 물을 여재(모래, 안트라사이트, 활성탄, 제오라이트)층에 통과시켜 수중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방법. ◦여과속도: 여과지를 통과한 물의 유속(m/day). 여과량(Q)을 여과지 평면적(A)으로 나눈 값. ◦여과지 유입수: 여과지로 유입되는 물. ◦여과수: 여과지를 통과한 물. ◦여과수두: 여과지 수면과 여과수 인출수면과의 수위 차. 여과지내에서 생기는 손실수두를 의미함. ◦표면여과 : 탁질이 여과층표면에 억류되는 형태 ◦내부여과 : 탁질이 여과층내부에 침입하여 억류되는 형태(여층 내부에 넓게 분포) v여과법의 분류 ①여과 속도 : 완속(표면)여과와 급속(표면 및 내부)여과 ②여과지 구조 : 중력식(개방식)과 압력식(밀폐식, 기계식) ③여재층 : 단층여과와 다층여과 ④여과기능 ..
신체적 건강 • 신체적으로 질병이 없는 상태 당시의 시대적 상황이 반영 이원론적 과학철학(정신은 신의 몫/육체는 마치 기계와 같은 것) 급성 감염병이 만연하던 시대,병을 고치면 건강이 회복된다. 심신의 건강 • 정신건강 ∞ 신체건강 (불가분의 관계) 만성질환이 많아지는 상황에서,자신은 아픈데(illness)의학적지식으로는 원인이 확인이 안되어 치료가 안되는 상황이 있었음 건전한 정신은 건강한 신체로부터.. 20세기 다차원적 생활개념으로서의 건강 • 1948 WHO 헌장에 나온 건강의 정의 질병이 없고 허약하지 않은 상태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육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안녕인 상태 (신체,정신+사회,정서적 부분까지 확장) 사회적으로 안녕? 사회적 환경 속에서 사회 구성원으로서..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 역학의 목적은 질병의 원인 규명 1 단계, 노출과 질병간의 가능한 연관성을 관찰 2 단계, 원인과 영향관계에 대한 가설 설정 3 단계, 공식 역학 연구를 통해서 가설을 검증 모든 역학연구는 동물실험 보다는 인간을 대상으로 연구하는 것이 유리 하지만,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실험은 윤리적인 문제가 따름 오류의 근원 잘못된 결론으로 유도하는 가장 흔한 원인 중의 하나는 보고된 결과가 단순히 무작위 변이(arandom variation)로 인한 것이며 연관성이 우연히 나타난 데 있다. 일반적으로 만성질환 역학연구는 타당한 결 론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많은 대상자를 필요로 한다. 혼란변수(confounding variables)는 노출과 관련된 요인으로 질병을 발..

1. 기술역학적 조사를 통해서 얻어진 자료를 수집 분석 2. 질병발생에 대한 가설 설정 3. 진실유무를 확인(분석역학적 조사) 4. 분석역학조사 결과를 기초로 한 새로운 역학적 조사와 가설검정 역학적 연구방법 기술역학(descriptive epidemiology) 질병 등이 규모와 분포를 사람, 장소, 시간의 세 가지 측면에서 기술하는 제 1단계의 역학적 연구방법 (1) 사람 (2) 장소 ① 연령(age) ① 지역 - 질병의 지역적 분포를 범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 ② 성(gender) Pandemic -전 세계적으로 발생,유행 ③ 인종 Epidemic -한 국가에서 전반적으로 질병이 발생 ④ 결혼상태 Endemic -일부 지역에 특수하게 발생 ⑤ 사회, 경제 수준 Spora..
특정시장을 위해서 특정 경쟁회사가 직접적으로 대결하는 것이라기보다 훨씬 광범위한 경쟁의 관점을 따라서 특정 경쟁자를 우회하여 경쟁자가 존재하지 않은 시장을 확보하고자 하는 전략 1) 우회전략의 유형 가. 신제품 개발전략 기존제품을 가지고 경쟁기업과 싸우기보다는 경쟁기업이 시장에 공급할 수 없는 신제품을 개발하여 소비자의 욕구를 만족시킴으로써 기존 경쟁회사를 능가하는 것 나. 비연관산업으로의 다변화전략 경쟁기업의 제품과는 관련이 없는 다른 분야에서 제품의 다양화를 추구하여 우회하는 전략. 즉 고유한 산업분야에서 새로운 산업분야로 투자를 이동하는 것 다. 지리적 시장다변화전략 해외진출기업이 목표로 한 진출대상국 외에도 지역적으로 다양한 시장진출을 꾀하여 결국에는 목표시장을 공략하는 전략 2) 우회공격전략 성..
적의 전선을 여러 곳에서 대대적으로 공격함으로써 적이 정면뿐만 아니라 측면, 후면도 동시에 방어하게끔 하는 전략 - 목표 : 경쟁기업을 여러 곳에서 공격해 적의 방어력를 분산시킴으로써 적의 자원 집중도를 약하게 하는 것 1) 포위공격전략의 유형 가. 제품포위전략 - 품질과 기능, 스타일면에서 경쟁회사의 제품계열을 압도하는 특징을 가진 제품을 다양하게 생산하는 것 - 예 : Seiko의 경우 시계산업에 있어서 제품계열을 확장하여 제품의 질적인 면에서 전반적으로 우수하면서도 가격적으로는 염가제품에서부터 독특한 특징을 가진 최고급제품까지 광범위하게 생산하고 있음. 나. 시장포위전략 - 회사제품을 거의 모든 세분시장분야에 대해 판매를 확대함으로써 경쟁기업의 시장을 포위하는 전략 - 예 : Seiko는 시계유통을..
- 상대의 전투력, 그것도 약점보다는 강점을 정면적으로 공격하는 전략 - “이에는 이, 눈에는 눈”과 같은 정면대결 - 예 : Honda가 미국 진출 10년만인 1970년대 말 대형 오토바이시장분야에서 Harley Davidson과 직접적인 경쟁 1) 정면공격전략의 유형 가. 순수한 정면공격전략 - 공격할 경쟁자와 제품에는 제품으로, 가격에는 가격으로, 촉진에는 촉진으로 모든 면에서 정면 대결하는 전략 - 공격기업이 경쟁기업과 같은 고객을 대상으로 하여 근본적으로 “나도 함께”(me-too) 또는 “나도 같이”(look-alike) 전략 - 예 : VTR시장에 뒤늦게 진출한 마쓰시다의 VHS가 소니의 우수한 베타멕스를 누르고 산업의 표준이 된 것. VHS는 기술면에서나 시장선도력에 있어서나 베타멕스에 뒤..
o 시간이 지날수록 역법에 오차가 생겨 스스로 해결하려 많은 노력 경주 - 1052년(문종 6) 3월에는 김성택(金成澤)의 십정력(十精曆) - 이인현(李仁顯)의 칠요력(七曜력) - 한위행(韓爲行)의 견행력(見行曆) - 양원호(梁元虎)의 둔갑력(遁甲曆) - 김정(金正)의 태일력(太一曆) 등이 편찬되었으나 그 내용과 채택 여부는 불분명 o 1291년(충열왕 7)에 元의 사신 王通이 ‘수시력‘을 가지고 들어와 천거 - 좋은 관측기구로 정밀 관측하여 정확한 값을 취하였고 - 적년(積年), 日法, 月法을 쓰지 않는 좋은 역 o 그 후 충선왕(忠宣王) 때( 재위 1309-1314) 최성지(崔誠之)가 왕을 따라 원에 가서 授時曆法을 얻어와 준용 o 원의 수시력 편력자 대표 3인; 허형, 왕순, 곽수경 허형(許衡) -..
o 선명력은 서앙(徐昻)이 만들어 822년(당 장경 2)부터 71년간 사용 o 통일신라 후기인 830년 경부터 사용되어(추정) 918년 고려 건국이래 1312년 충선왕에 이르기까지 약 500년간 한반도에서 사용 《증보문헌비고》 ( 일본에서는 862 - 1684 까지 823 년간 사용 ) o 선명력의 내용 - 기수(氣首)는 동지 - 上元은 甲子夜半朔旦冬至(갑자일 야반이 합삭일이고, 동지 입기 시각) - 822년 長慶 2년 天正冬至(전해의 동지)의 적년을 7,070,138년으로 정함 - 1 일(통법) = 8400분 - 1 삭망월 = 248057분 그러므로, 1 삭망월 = 29.530593일 - 1 년 = 3068055분 1 년 = 365.24464일 - 60일 = 8400 x60(분) = 504000분 -평..
“국조역상고(國朝曆象考)“ 서문에 신라에서는 인덕력과 대연력을 사용했다는 기록이 있다 1. 인덕력(麟德曆) ; 이순풍 작, 665년, 인덕2년 o 삼국사기에 보면 674년(문무왕 14)에 당에서 대나마복덕이 역술을 배워와 책력 만듬 o 정삭법을 사용하는 무인력의 연 4대월을 피하는 손질(진삭법 사용)로 인덕력이 665년(인덕 2)에 반포되어 당에서 728년(현종 개원 16)까지 64년간 쓰임 -즉, 정삭법 재생 + 연 4 대월을 피하기 위하여 진삭법(進朔법)을 채택 * 진삭법 - 합삭 시각이 오후 6시가 지나면 다음날을 삭일로 하는 법 o 인덕력에서는 종래 고대의 역법에서와 다르게 1 태양년과 1 태음월의 日數를 구하는 분수 분모를 공통분모(총법)로 사용하여 이 후의 역법에서 계속 사용되다 1 태양년 =..